본문 바로가기
설악산

북설악(신선봉-도원계곡 산악 라이딩)

by 동교동 2016. 8. 13.
북설악
( 신선봉-도원계곡 산악 라이딩 )

 

산행한 날: 2016. 8.   .       날씨: 맑음

산행한 곳: 북설악(신선봉-도원계곡 산악 라이딩 ) 

산행 구간: 도원3리-무릉도원로(자전거)-새이령 입구(임도)-문암천 상류(좌지류)-신선봉-새이령-임도(자전거)-도원3리(12시간50분)


한여름 폭염!

북설악 오지의 계곡을 찾아 산행과 산악 라이딩을 하기로 하였는데

습하고 더운 날씨를 이겨내지 못할 것 같아

산행을 포기로 했어지요.


저녁에 반주삼아 한잔하고 잠이 들었는데

숙면을 취하지 못하고 잠자리는 뒤척거릴뿐,

더위로 인해 산을 오르지 않겠다며 굳이 잠을 청할수록

다른 내마음이 어여 일어나 산을 오르라고 보챈다.


산을 가자와 그렇지 않은 나의 두마음이 옥신각신 다투다가

기어코 베낭을 챙겨 이른 새벽에 집을 나선다.



자전거를 타고 가다 만난 커다란 조형물

"진격의 농부"

도원리 마을회관이라 하는데, 높이만 건물 4층 높이 지금은 수리중으로 내부를 들여다보지 못한 아쉬움이 남지만...

옛날 옛적에 이곳에서 만든 항아리를 조형물 처럼 지게에 지고 새이령을 넘나들었다니 놀라울 뿐이죠. 오늘 그 길을 갑니다.


자전거를 타고 무릉도원로를 따르다가 만난 도원저수지 위로 신선봉이 살짝 운무에 덮여 있는 모습을 봅니다.


도원리계곡에 이르렀습니다.


윗쪽으로 구름다리도 보이고 마을관리 휴양지 답지 않게 멋지네요.


구름다리로 이어지는 길목엔 정자각도 보이고,


구름다리 위에서 내려다본 도원리계곡 전경


구름다리 위에서 올려다본 도원리계곡 전경


구름다리 위쪽에 있는 민박집 앞에서 내려다본 도원리계곡


도원리계곡을 따라 오르니 목책교도 보이네요.


목책교 위에서 내려다본 전경


목책교 위에서 올려다본 전경



산불감시 초소 여기까지 오는데 개인 사유지가 있는데 재산권 침해 문제로 도원리계곡 마을휴양지가 잠정 휴업에 들어갔다고 하네요.


가지런하게 심어놓은 소나무 숲길


또 다른 목책교인 선녀폭포교를 만났네요.


선녀폭포교에서 마산봉을 바라보고,


안내 표지판! 가야 할 길은 좌측이지만 원터라는 곳이 궁금하여 우측길로 들어가봅니다.


여기가 원터! 행정동은 원대리 옛적에 부락을 이루고 있었을 터 지금은 무성한 잡초만 자랄뿐이네요.


가야할 길을 오르다 만난 임도 차단막! 네 번째네요.


임도를 따라 자전거를 타고 오르다 앞으로 자전거를 타고가야 할 임도를 바라봅니다.


자전거 타고 오르는 임도와 마산봉 방향 전경


햇살을 등지고 오르는 임도길 그늘에서 잠시 쉬었다 갑니다.


아침 햇살에 눈부신 문암천 하류 방향을 내려다보며,


흡사 동굴처럼 보이는 문암천의 지계곡 앞으로 올라가야 할 길입니다.


개인 사유지 약초 농장 입구


새이령 입구의 골짜기를 바라보며 자전거를 숲에 숨겨두고 신선봉에서 발원하는 문암천의 지계곡으로 들어갑니다.


신선봉에서 발원하여 문암천으로 흘러들어가는 지계곡은 암반층으로 이루워져 있고 흐르는 계곡수가 놀랍게도 멋지네요.


올목졸목한 모습의 협곡으로 보이는 지계곡 하류방향 전경


골짜기를 따라 오르다가 내려다보고,


첫 번째 만난 소


식수원으로 쓰기 위한 파이프 라인 옆으로 돌탑 무더기들


돌탑 무더기를 뒤로하고 오르는 골짜기는 음산하고 스산하게 느껴지네요.


크고 작은 둥근 바위들이 골짜기를 가득 메우고 있는 모습을 보며 올라갑니다.


우측의 바위는 높은 직벽의 절벽을 이루고 좌측의 바위는 작은 대각선을 이루는 암반층 사이로 흐르는 계곡이 조금은 위협적이네요.


상단에서 내려다보는 전경


일괄 변하지 않는 암반층의 골짜기


느긋하고 부드럽게 흐르는 골짜기


골짜기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을 마음속 깊은 곳까지 받아들여 봅니다.


암반위로 흐르는 계곡의 물소리는 어디로 갔는지 들리지도 않아요.


깊은 소를 이루는 폭포를 만나고,


폭포 상단부에서 내려다보고 회색 암반위로 흐르는 계곡수를 따라오릅니다.


또 다른 소를 이루는 폭포를 만났네요.


일정한 간격을 두고 만나는 소를 이루는 또 다른 폭포는 이단폭의 모습으로 보이고,


커다란 바위 사이로 떨어지는 다른 모습의 폭포


급하지 않게 오르는 골짜기를 어느 만큼 올랐는지 처음으로 다래 덩굴을 만났네요.


폭포의 모습일까? 아닐까? 단순하게 보이지 않는 모습 만큼 오르는 길도 단순하지 않네요.


또 다른 모습의 폭포


하나 같이 소를 이루는 폭포


산만한 모습의 폭포도 소를 이루고


연속으로 만나는 폭포들 위로 갑자기 하늘이 크게 열리고 넓게 펼처져 보이는 골짜기에 햇살이 눈부시게 쏟아져 내리고 있네요.


소를 이루는 와폭도 만나고,


와폭 상단부에서 잠시 쉬었다 가렵니다.


하나 같이 소를 이루는 이단 와폭도 만났네요.


처음으로 만난 좌우골 합수점 길은 우골을 따릅니다.


합수점 이후로 처음 만난 폭포는 음산하고 습한 모습에서 땀방울은 구슬처럼 흘러내리지요.


조금씩 잡목들로 인해 산만하게 보이는 폭포를 만났습니다.


고도를 조금씩 높이며 오르는 골짜기의 바위들은 이끼를 품고 잡목들로 흐드러지고,


날벌레들이 어느 곳 보다 번성하고 있는 골짜기의 폭포를 만났어요.


골짜기는 폭포를 만들어 내면서 조금씩 고도를 높이고 있네요.


세 갈래의 물줄기를 보이는 폭포도 만나고,


좁고 가늘게 흐르는 작지않은 와폭도 만났습니다.


와폭 상단부는 푸르른 이끼들의 천국


올라왔던 골짜기를 뒤돌아보니 마산봉이 반겨줍니다.


너덜겅 바위 위로 이끼류로 가득한 골짜기는 잡목들로 무성하여 오르는 길도 그만큼 힘들고 고달픕니다.


오를수록 골짜기엔 잡목들이 무성하고 힘이들어 골짜기를 버려야겠습니다.


골짜기 우지선을 따라 오르니 조금은 수월한 듯 하네요.


골짜기 우지선을 오르다 조망이 트이는 지점에서 내려다보는 골짜기 전경


좌측으로 신선봉에서 새이령으로 이어지는 대간길 가운데 둔덕을 이루는 곳이 헬기장이고 넘어가면 새이령!

좌측 위로 병풍바위와 우측으로 마산 넘어 멀리 향로봉을 바라봅니다.


모기와 날파리와의 전쟁을 치르면서 오르는 잡목으로 무성한 가파른 지옥같은 길을 헤집고 오르니 드디어 신선봉 아랫쪽에 있는 너덜겅 지대가 해방의 기쁨을 줍니다.


너덜겅 지대를 오르면서 내려다보고,


신선봉 정상으로 오르는 너덜겅 길


신선봉에서 내려다보는 올라온 골짜기


신선봉에서 바라보는 대간길과 마산


신선봉에서 바라보는 상봉


신선봉에서 바라보는 인제 용대리 방향 전경


신선봉 정상 바위!

임도에서 정상까지 골짜기 산행만 6시간 30분이나 걸렸습니다.


신선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상봉과 울산바위


신선봉 정상에서 바라보는 가야 할 대간길과 마산을 바라보며 길을 따릅니다.


신선봉에서 새이령 가는 길에 만난 헬기장


헬기장에서 뒤돌아보는 신선봉이 까마득하게 높아만 보이네요.


헬기장에서 바라보는 병풍바위봉과 마산봉


새이령엔 어느 산객님이 잠을 청하고 있어 살며시 지나갑니다.


새이령 이정표!


새이령은 잊혀져 가는 고개길!

세월도 사람도 길은 잊혀져 가는 만큼 자연속으로 풍화되어 가고 있습니다.


주막터도 만나고,


임도를 만나면서 모기와 날파리와의 전투를 벌이며 오른 모질고 힘든 신선봉 오지 계곡 산행은 여기까지입니다.


골짜기에서 시원한 알탕을 하고 나와 짐을 챙기는데 오토바이를 탄 주민을 만났지요.

처음엔 상당히 노여워하는 듯한 인상으로 다가오는 분에게 인사를 나누고 이런 저런 예기를 나누다 보니 요 아래 약초 농장 쥔장 분이었는데 고맙게도 사진을 잘 찍어 주셨네요.


신선봉 산행을 마치고 도원 임도길에서 바라보는 새이령!


좌측으로 신선봉도 바라보고,


자전거를 타고 가야 할 도원 임도길이 10km


굽어 돌아가는 임도길 위로 신선봉을 바라보며


새이령도 뒤돌아봅니다.


새이령과 신선봉 그리고 들어갔던 오지의 골짜기를 오래도록 들여다봅니다.


사태로 두동강이 날 위기에 처해진 임도 저 아래 골짜기 까지 약 100m  이런 모습을 보면 참 씁쓸해요.


도원 저수지와 멀리 속초 시내의 고층 아파트 들을 바라보며,


완만하게 이어져 올라가는 임도를 따르지요.


조금씩 멀어져 가는 신선봉을 바라보며,


뉘엇뉘엇 넘어가는 햇살 사이로 새이령을 바라봅니다.


굽이굽이 돌아가는 임도를 따라 바람을 가르며 달려갑니다.

햇살을 등지고 타고 가는 자전거는 잘도 달려 주지만 그렇게 땀을 흘려겄만 아직도 부족함이 많은가 봅니다.


산행도 산악 라이딩도 잘 마치고 집으로 돌아가는 차안에서 도로 풍경

 

집으로 돌아가는 차안에서 바라보이는 설악!




가벼운 마음으로 다가가는 산행이었다.

어쩌면 방심했는지도 모르지만,


산은 그렇게 쉽게 내게 다가오지 않았고

쉽게 다가갈 수도 없었다.


위험 부담은 크지 않았다라고  느끼지만

골짜기는 누구의 접근도 쉽게 내주지 않는 오염되지 않은 원시의 계곡이었다.


무더운 한 여름날의

원시 오지의 계곡 산행 추억으로 기억되는 멋진 일품 산행이었습니다.





















































'설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설악 (미륵장군봉)  (0) 2016.09.28
설악산 (큰형제바위)  (0) 2016.08.25
남설악 (장군바위길)  (0) 2016.07.12
남설악(상투바위에서 소승폭포 이어가기)  (1) 2016.06.30
설악산 (만경대 별길3)  (0) 2016.06.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