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설악산

설악산 (서북능선의 무명골)

by 동교동 2012. 10. 21.
설악산
( 서북능선의 무명골 )

 

산행한 날: 2012. 10.   .   금요일    날씨  맑음

산행한 곳: 설악산 (서북능선의 무명골 (선바위골과 장군바위골 중앙에 있는 3개의 큰 골짜기) )

산행 구간:  장수대 - 무명1골 (장군바위골 좌측) - 무명2골-무명3골 (선바위골 우측) - 자양천 - 장수대 (산행시간 8시간50분)

 

지난 가리봉 산행때 자영천에서 바라보았던 웅장한 바위들!

 아름다운 바위들 사이로 흐르는 골짜기가 머릿속에서 잊혀지지를 않아 이름없는 무명골을 원점 회귀산행에 나서 보았다.

이름은 임의적으로 편의상 무명골 1,2,3으로 구분 하였다. 

 

무명1골

 

 

노랗게 물들어 가는 갈참나무 숲을 지나 무명골을 찾아 가는길,  

 

선바위골을 지나  무명3골을 가로질러 가는길에 슬쩍 윗쪽을 올려다보니,

음침하게 느껴지는것이 예스러지 않게 보이는것 자체부터 주눅이 들어버리네요.

 

  무명2골은,

 바윗돌들이 너절하게 널려있는 모습이 부담없이 발걸음을 올려 놓을 수 있겠구나!라는 생각을 갖으며 지나갑니다.

 

  무명1골에 이르렀습니다.

산행 계획은 자양천을 따라 오르면서 산위로 높이 올려다 보이는 아름다운  바위들이 울긋불긋 곱게 물든 단풍 물결속에 조화를 이루는 멋진 풍경을 감상하면서 무명1골에 오를 계획이었으나 여러가지 정황상 도로위 사면을 따라 오다보니 시간과 힘도 많이 들게 되어 계획에 어긋나면 그만큼 몸이 고생 한다는 것을 새삼 느끼면서 본격적인 산행을 시작합니다.

 

  골짜기 안으로 조금 들어오니 다래덩굴이 가득 드리워진 모습을 보면서 멀리  어느 암봉이 하얗게 올려다 보이네요.

 

  무명1골은 들머리 길부터 들어가는 골짜기 내내 고만고만한 바윗돌들이 너절하게 보이는 모습은 여전하고 노랗게 물든 단풍숲 사이로 어느 암봉을 바라보면서 굽음없이 직선으로 올라갑니다.

 

골짜기는 크게 볼품없지만 단풍숲으로 아름다운 숲 위로 파란 하늘을 아득히 우러러 보고,

  

  온통 노랗게 물든 단풍숲 사이에 붉게 물든 단풍이 홍일점으로 보이는 것이 더 예쁘기만 합니다.

 

  노랗게 물든 단풍숲으로 우거진 골짜기 속에 머물다 보니 내 생각도 싹수가 노랗게 되어버린 것이 아닌지 의아할 정도로 처음 만나는 저 폭포가 폭포처럼 보이지 않으니... ㅎㅎㅊ

 

  폭포 상단부에서 내려다본 풍경 저 멀리 햇빛에 굴절되어 희뽀얗게 보이는 가리봉도 올려다 보고,  

 

  노란 단풍숲 속으로 하염없이 빠져 들어가느라 갈길을 잃어 버린것은 아닐런지...

 

  폭포 상류쪽을 바라보니 바위 절벽에 노랗고 붉게 물든 단풍 사이로 또 다른 폭포가 위협적으로 앞을 가로막고 있는 모습을 보면서 들여다 봅니다.

 

  들어가면서 보니 누가 바라보면 쑥스러움이라도 타는지 우측으로 살짝 꺽여 들어가 있는 폭포를 보면서 높은 바위 봉우리와 무르익어 가는 가을 하늘을 다시 한번 우러러 보고,

 

  폭포 가까이 와서도 폭포를 바로 보면 폭포가 부끄러움이라도 타면 어쩌나 하는 마음으로 바로 보지 못하고 폭포 상단부의 고운 단풍과 묵묵히 표정없는 바위봉 그리고 한점 부끄럼 없는 파란 하늘을 바라보지요.

 

 

  높이는 상당하지만 겨우 희미한 물줄기만 보이며 굴곡이 심한 폭포의 모습을 갖어서 쑥스러웠나 봅니다.

 

  폭포 상단부를 올려다 보니 경사도가 완만하게 보이는것이 2단폭 처럼 보이는데 올라가 보면 알겠죠.

 

  폭포 상단부에서 바로 앞쪽을 바라보니 가리봉의 12연봉도 바로 보이고,

 

  폭포 하단부를 내려다보니 2단폭이 맞네요.

 

  풍경이 아름다우면 오래 머물다 가게 되지요.

그래서 폭포 상단부와 함께 가리봉이 안고있는 12연봉과 함께 조화로운 풍경을 담아 보았지요.

 

  폭포 상단부까지만 올라왔다 내려갈 생각으로 홀연 단신으로 올라왔는데 생각이 바뀌어 상류 골짜기 속으로 들어가고푼 유혹을 폭포 저 아래로 털어내지 못하고 발걸음은 저 위로 향하는데 저 아래와는 사뭇 다른 풍경으로 와닿습니다.

 

  저 아래는 바윗돌들이라면 폭포 상단부 부터는 바위들로 꽉채워진 골짜기 길입니다.

 

  급사면에 가까운 골짜기 길을 오르면서 밀려오는 허기짐이 어서 내려가라고 보채지만 내 마음은 최상류지대는 보지 못해도 상류지대 까지는 올라야 겠다는 일념으로 배고픔을 잊으려고 애꿋은 골짜기 물만 탓해봅니다. 

 

  단풍이 조금은 시들해져가는 모습과 바위들도 크기가 잦아들어가는 골짜기의 풍경으로 보아 중상류지대가 아닌가 싶은데,

 

  세번째 만나는 폭포

 

  폭포 상단부에 올라 보니 소를 품고 있는 독특한 모습의 폭포임을 보면서,

 

  폭포 상단에서 우측을 올려다보니 바위 안쪽으로 둥그렇게 움푹 파여 들어간 바위가 첫눈에 들어와 담아보고,

 

  낙엽지는 골짜기는 높고 길게 올라가는 암반 지대의 와폭 같은 모습이지요.

 

  부드럽게 올라가던 암반지대에 제멋대로 쓰러진 나무와 바위들로 축성을 쌓은듯한 모습도 만나고,

 

  다시 만나는 매끄러운 암반위에 또 다른 축성같은 모습이 저윗쪽으로 보이고,

 

  이어서 계속되는 암반지대

 

  경사각은 크지 않지만 암반지대가 굉장히 높고 길게 이어지는 것이 물흐름만 좋다면 와폭이라고 하여도 잘못된것은 아니겠다.

 

  와폭 최상단부 전에서 뒤돌아본 풍경 

 

  와폭 상단부 쪽으로는 바윗돌들이 너절부레한 모습으로 두 갈래의 골짜기가 합수점을 보이며 잡목수림이 우거져 있는 모습을 보면서 고도계를 들여다 보니 해발 1200m에 가까운 것을 확인하고 여기서 발길을 되돌립니다.

 

  와폭 최상단부에서 뒤돌아보니 전나무가지 사이로 가리봉이 저만치 올려다 보이는 풍경을 담고,

 

  정상 오름길을 뒤로하고 올라온 길을 되돌아 내려갑니다.

 

  낙엽 쌓인 암반지대에서 잠시 한가로운 여유도 갖어 보면서,

 

  안전하게 부지런히 내려와 무명1골의 산행길을 마치고 무명2골을 찾아 갑니다.

 

  생강나무가 노랗게 물든 숲속길을 가로질러 무명2골을 찾아가는 길

 

 

 

무명2골

 

 

  무명2골에 들어왔습니다.

큼지막한 바위들로 가득 드리워진 골짜기는 양쪽으로 급사면에 가까운 절벽이 흡사 협곡과도 같은 인상으로 다가오네요.

  

  크고 작은 바위들로 더불어진 골짜기는 예스럽지 않지만 산행의 흥미가 뭉클뭉클 풍기는 골짜기는 분명한듯 합니다. 

 

 허기진 때를 놓친 상태에서 먹은 점심으로 인해 온몸에 맥이 빠져버리면서  붉으락푸르락 거리듯 골짜기는 암상스럽게 내게 다가옵니다.

 

  우측의 바위 절벽에서 사태가 일어난 모습을 보면서 조용히 올라갑니다.

 

커다란 바위와 바위 절벽이 앙상불을 이루는 바위틈으로 폭포 형태의 모습 윗쪽으로 또 다른 폭포가 보입니다.

 

  서로 다른 바위가 조화를 이루는 모습위의 폭포의 모습을 하나로 담고,

 

  제법 규모가 큰 폭포임은 틀림은 없지만 수량이 부족하여 아쉬움을 더합니다.

 

  폭포 상단지역을 보면서 우회하여 오릅니다.

 

  폭포 우회길은 급사면의 너덜겅 바위길인데 발을 디딜때 마다 바위가 미끄러 굴러떨어져 오름길은 그만큼 힘을 더합니다.

 

  우회하는 바위 절벽길에서 멀리 바라본 풍경

 

  우회길에서 폭포 하단부를 내려다 보면서 상단부에 내려섭니다.

 

  폭포 상단부에 이르니 두개의 소를 품고 있는 3단폭의 모습이고, 

 

  폭포 상류 지역은 정신없이 너절한 모습이지만,

 

  또 다른 폭포를 만나지요.

 

  폭포 상단부에서 내려다보니 중단 부분에 소를 품고 있는 2단폭의 폭포입니다.

 

  폭포 상류 지대는 암반으로 이뤄진 길이어서 잠시 부드럽게 오르는가 싶었으나,

 

  바윗길을 만나 앞으로 어떤 모습으로 어떻게 오를지 예상도 못하면서 바위따라 오릅니다.

 

  다래덩굴과 쓰러진 나무가 골짜기를 가득 메우고 있어 길은 더욱 거칠고 힘이 들어도,

 

  골짜기를 오를수록 다래덩굴이 앞을 가로막고 있어 덩굴을 헤집고 오르지요.

 

  전체적인 바위가 조금씩 드러나기 시작하면서 앞쪽 위에서 떡하니 버티고 서있는 암벽을 향해 올라갑니다.

 

  울퉁불퉁 좁은 골을 형성하며 흘러내려오는 바윗길은 완만하 경사도를 이루고 있어 오르는데 어려움은 없지요. 

 

  상단부를 올려다보니 험난한 바위길이어서 수상하게 보이지만 위험 요소는 보이지 않습니다.

 

  바위길을 조용히 올라가 봅니다.

 

우측으로 매끄러운 암벽이 보이는데 물흐름 자국이 보이는 것으로 보아 갈수기여서 건폭으로 변한것이 아닌가 싶고,

그 높이가 헤아리기 어려울 정도로 높아 위성 사진으로도 확인이 가능합니다.

 

  건폭으로 보이는 합류점을 뒤로하고 직선으로 곧게 뻗어 올라가는 바위길을 올라 갑니다.

 

  바위길 상단부를 올려다 보니 위아래 어디를 보아도 바위로 이루워진 멋진 산행길 이라는것은 분명한듯 합니다.

 

  멋진 바위길에서 나의 흔적 하나 남겨두고,

 

  급사면을 이루는 바위길 저위로 절벽에 가까운 폭포의 모습으로 보이지만 오름길이 가능할지 가까이 다가가 봅니다.

 

좁고 험악하여 급하게 올라가는 바위길은 상당한 위험이 예상이 되지만 눈에 보이는 상단부까지 오름길은 가능하리라 보여져 다음 산행때 이곳을 다시 찾는다면 그때는 저곳도 올라가 보아야 겠다는 생각으로 무명2골 산행은 여기까지 입니다.

 

  오늘 산행의 종착점에서 흔적 하나 남겨두고, 

 

  올라온 바위길을 되돌아 내려갑니다.

 

  내려가는 길에 멀리 가리봉을 바라보고,

 

  내려가는 바위길 바위 홈속에서 흠벅 물먹은 푸르른 바위이끼를 들여다 보기도 하면서,

 

되돌아 내려갑니다.

 

바위길도 거침없이 내려가야지요. 내려가는 길도 또다른 산행의 의미를 부여하면서...

 

  올라올때 보지 못하였던 단풍도 보면서...

 

  올라갈땐 바위봉만을 보며 올랐으나 내려가는 길은 단풍과 멀리 가리봉을 마주하며 내려가지요.

 

무명2골 하류지대인 날머리 길에서 무명3골을 찾아 갑니다.

 

단풍 숲길을 지나 무명3골을 찾아 가는길 

 

무명3골

 

검으스름한 협곡을 이루는 무명3골 들머리길 범상치않게 함부로 접근을 허락하지 않으려는듯 커다란 둥근 바위가 골짜기를 가로막고 있는 아래에는 심마니의 치성터를 보면서 올라갑니다. 

 

바위를 올라 골짜기 위쪽을 올려다 보니 으슥하고 스산하게 느껴지는 골짜기의 분위기가 즐겁지만은 않지만 윗쪽으로 폭포가 보입니다.

 

폭포 하단부에는 조망하기 좋은 고구마 모양의 바위 위에서 폭포를 바라보며 생각합니다.

 시간만 허락한다면 폭포 상단부에 올라 무명3골의 속을 들여다 보며 멋진 골짜기 산행이 될 수 있을것이라는 믿음이 마음을 강하게 자극하지만 여기서 마음은 저위로 올려보내고 발길은 되돌아 내려 가야겠습니다.

 

폭포 상단부도 담아보면서 저곳을 오를려면 크게 높게 우회 하여야 오를듯 싶지만 무명3골 산행은 이것으로 잠시 들여다 보는것으로 만족하고 아쉬움만 남겨둡니다.

 

폭포 하단부 고구마 모양의 바위 위에서 골짜기 윗쪽을 올려다보는 풍경

 

  폭포 하단부 고구마 모양의 바위 위에서 골짜기를 내려다 보는 풍경

 

  심마니 치성 바위를 내려가기에 앞서 담은 풍경

 

  무명3골에서 사면을 따라 돌아가는 여정이 무척이나 고달프다.

왔던 길을 되돌아가는 길인데 왜 그렇게 거칠며 가도가도 끝도없이 멀기만 하여,

 

자양천으로 내려왔다.

자양천에 내려오니 무척이나 편안한것을 괜한 고집으로 힘만 들인것이 아닌지...

 

 가리봉쪽의 실폭포가 있는 골짜기의 아름다운 단풍을 보면서

 서북능선 자양천변의 무명골 산행의 추억을 멋지게 담아 둡니다.   

 

  자양천의 사방은 어느새 저녁

 어스름이 깔려 오고 있는데  

 

 빨갛게 물든 고운 단풍잎을 보고 모른 채 그냥 지나칠까 하다가 

 오래동안 붙잡아 두려고 애를 써보았다

 

 정작 예쁜 단풍잎은 내 앞에서 미동도 없이 어둠만 내게 슬그머니 쥐어주어서

 짖게 젖어들어 가는 어둠속에 갖혀버리고 말았다.

'설악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설악산(음폭골(좌골) - 만경대 - 칠선골)  (0) 2012.11.07
설악산( 건천골 - 적백운 )  (0) 2012.10.29
설악산(염주골)  (0) 2012.10.18
설악산(만물상 - 만경대)  (0) 2012.10.12
설악산(흑선동계곡 - 선바위골)  (0) 2012.10.12